분류 전체보기
-
202010020_TIL : Mysql 여러가지 속성들TIL 2022. 10. 20. 21:00
#1 서론 오늘부터 내년 3월 2일, 개학하기 전까지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려고 한다. 그에 맞춰 오늘은 DB모델링을 하기 위해 여러가지 속성을 살펴본다. #2 본론 Primary Key (PK, 기본키) 테이블에서 어떤 row를 식별하기위해 존재하는 특별한 column. Natural Key (자연키) 테이블을 이루고있는 컬럼들 중에서 PK로 설정된 컬럼 Surrogate Key (대체키) 테이블을 이루고 있는 컬럼들 중에서 PK로 설정한 마땅한 컬럼이 없을때, 임의의 식별번호로 이루어진 PK이다. Not Null (NN) Null이 아니다. pk와 같이 빈 값이 들어가면 안되는 컬럼에 사용한다. Auto Increment (AI) 이 속성을 추가하면, DB에서 알아서 자동으로 증가하는 값을 넣어준..
-
20221017_TIL : git commit 여러줄 커밋메시지 쓰는 방법TIL 2022. 10. 17. 19:36
#1 서론 지금까지는 모든 커밋을할때 배운 -m 옵션으로 간단하게 한줄만 커밋메시지를 작성했다. 하지만 한줄로 쓰기엔 많은 변경사항이 있고 더 많은 메시지를 주고싶을때 어떻게 해야되는지 찾아봤다. #2 본론 간단하게 그냥 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해 주면 자동으로 설정된 기본 에디터가 열린다. 맥의 경우에는 vim이 열린다. 열린 vim에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면 된다 (주의) #이 맨 처음에 들어간 줄은 커밋 메시지에 반영되지 않는다. (힌트) 긴 커밋메시지를 쓸 때는 첫줄에 간단하게 적고, 한줄을 띄운다음 세번째 줄에 자세한 변경사항을 적는것이 보기 편하다 #3 결론 예전에는 한줄에 많은 변경사항을 다 적을려고 문장이 엄청 길어졌는데, 이제는 그러지 않아도 될것 같다 #4 참고자료 코드잇
-
20221003_TIL : git push하기 전 고려해야 할 것TIL 2022. 10. 3. 20:50
#1 서론 코드잇(온라인 코딩강의)에서 커밋 히스토리를 관리하라는 내용의 영상을 봤는데, 굳이 관리를 해야되나 싶어서 다른 자료를 더 찾아봤고, 아래와 같이 중요한 정보를 얻었다. #2 본론 Git이 동작하는 기본 원리 중 하나는 Git은 로컬에 모든 버전관리 데이터를 로컬에 복사(Clone) 해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자유롭게 히스토리를 로컬에서 수정해 볼 수 있는 자유도 누릴 수 있다. 다만 로컬의 버전관리 데이터 혹은 커밋이 외부로 Push가 된 후라면 이야기는 완전 딴판이된다. Push된 데이터는 수정에 대해선 완전이 끝난 것이다. 고쳐야 할 이유가 생겼더라도 새로 수정작업을 추가해야지 이전 커밋 자체를 수정할 수는 없다. 그렇기에 온전하게 수정 작업을 마무리했다는 확신 없이 작업 내용을 ..
-
20221001_TIL : git push, git pullTIL 2022. 10. 3. 19:49
#1 서론 저번글에서 local repository를 remote repository에 처음 올렸다. 이번에는 로컬저장소에 새로운 커밋을 추가하고, 그 내용을 다시 원격저장소에 올리는 방법과 원격저장소에서 새로운 커밋이 있을때, 그 내용을 로컬저장소에 가져오는 방법을 배운다. #2 본론 #2-1 로컬저장소 -> 원격저장소 로컬저장소의 새로운 커밋을 원격저장소에 올리려면 git push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2-2 원격저장소 -> 로컬저장소 원격저장소의 새로운 커밋을 로컬저장소에 올리려면 git pul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3 결론 오늘 내용은 아주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로컬저장소보다 원격저장소의 커밋이 더 앞서가있다면 git push를 할 때 git pull을 먼저 해야될 때가..
-
20220930_TIL : github local repository를 remote repository에 올리는 방법TIL 2022. 10. 3. 19:36
#1 서론 자주나오는 local repository(로컬저장소)와 remote repository(원격저장소)를 제대로 알아보고, 로컬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처음 올리는 방법을 배운다. # 단어설명 repository : 프로젝트에 대한 버전 정보가 담겨있는 디렉토리 repository는 밑의 두개로 나뉜다. local repository : 내 컴퓨터의 repository remote repository : github, 인터넷에 백업되어있는 repository #2 본론 #2-1 local repository를 remote repository에 push하기 우선 github.com 홈페이지에서 remote repository를 생성해 주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위의 것은 '새로운 repositor..
-
20200929_TIL : 특정 git 커맨드의 사용법 알아네는 방법 (git help)TIL 2022. 10. 3. 19:04
#1 서론 지금까지 배운 git의 커맨드 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커맨드 들이 이있을텐데, 지금 하나하나 다 알아보기에는 시간낭비 인것 같아서 나중에 유용하게 쓰일 것 같은 git help라는 커맨드를 배워본다. #2 본론 git help [알고 싶은 커맨드명] 위와같이 입력하면 [알고 싶은 커맨드의 이름] 에 대한 git의 공식 문서가 나오게 된다. #3 결론 지금까지는 영어를 잘 몰라서 한번도 써본적이 없는 커맨드이지만 나중에는 잘 활용하리라 믿는다 #4 참고자료 https://www.codeit.kr/learn/2894
-
20220928_TIL : git 파일의 4가지 상태TIL 2022. 9. 28. 21:16
#1 서론 어제에 이어서 git status 명령어를 알아보려 했으나, 그것을 하기 전에 파일의 4가지 상태를 먼저 하는게 좋을것 같아서 이것을 알아본다. #2 본론 우선은 크게 2가지의 상태로 나뉘어지고, trackted 에서 3개로 나뉘어진다. Untracked 상태 : git에 의해 추적되지 않고 있는 파일 상태 Tracked 상태 : git에 의해 추적되고 있는 파일 상태 staged 상태 :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고 나서 staging erea에 올라와 있는 상태 unmodified 상태 : 파일의 내용이 최신 커밋과 비교하여 변경되지 않은 상태 modified 상태 : 파일의 내용이 최신 커밋과 비교하여 변경된 상태 #3 결론 본론의 내용과 내일 쓸 git status를 정확하게 알고 있으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