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20220928_TIL : git 파일의 4가지 상태TIL 2022. 9. 28. 21:16
#1 서론 어제에 이어서 git status 명령어를 알아보려 했으나, 그것을 하기 전에 파일의 4가지 상태를 먼저 하는게 좋을것 같아서 이것을 알아본다. #2 본론 우선은 크게 2가지의 상태로 나뉘어지고, trackted 에서 3개로 나뉘어진다. Untracked 상태 : git에 의해 추적되지 않고 있는 파일 상태 Tracked 상태 : git에 의해 추적되고 있는 파일 상태 staged 상태 :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고 나서 staging erea에 올라와 있는 상태 unmodified 상태 : 파일의 내용이 최신 커밋과 비교하여 변경되지 않은 상태 modified 상태 : 파일의 내용이 최신 커밋과 비교하여 변경된 상태 #3 결론 본론의 내용과 내일 쓸 git status를 정확하게 알고 있으면 나..
-
20220927_TIL : git add, git resetTIL 2022. 9. 27. 22:47
#1 서론 파일이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넘어가고, 다시 되돌리는 방법을 알아봤다. # 단어설명 working directory(= working tree) #2 본론 1. git add는 파일을 working tree에서 staging area로 넘기는 명령어 이다. 2. git reset는 파일을 staging area에 존재하는 파일을 다시 리셋하여 working tree로 되돌리는 명령어이다. 1. git add [파일명] 2. git reset [파일명] + 1. git add의 경우 "git add ."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든 변경사항이 add되게 할 수 있다. #3 결론 다음 글에서는 현재 파일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는 "git status"명령..
-
20220926_TIL : git add 명령어를 쓰는 이유TIL 2022. 9. 26. 23:13
#1 서론 어제 글에 이어서...,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바로그냥 commit 명령어를 작성하면 될것 같은데, add 명령어를 굳이 써야되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2 본론 사실 git에는 3가지 작업 영역이 있다.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1. working directory는 말 그대로 작업하는 디렉토리이고 2. staging area은 git add된 파일들, 즉 commit 할 파일들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3. repository는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숨겨진 .git 디렉토리로 commit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3 결론 staging area는 없어도 될것 같다고 생각하였지만 참고자료를 보니까, stagin area는 나중에 커밋하고 싶지..
-
20220925_TIL : git 시작하기 and 첫 commit하기TIL 2022. 9. 25. 07:04
#1 서론 예전에 프로젝트를 하다가 실수로 모든 데이터가 날아가서 버전관리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그때부터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git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주 기본적이게 github에 내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add, commit, push, pull등의 명령어만 배웠다. 위의 명령어들도 정말 간단하게 알고 있어서 조그만 에러 하나만 났어도 github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다시 저장할 수 밖에 없었다. 이번에도 에러가 났고 이번에는 정말 git과 github을 제대로 알고싶어졌다. 그래서 이 글을 시작으로 공부할거다. # 시작하기 앞서 단어 정리 repository: .git 디렉토리로 프로젝트에 대한 버전 정보가 담겨있는 디렉토리 #2 본문 #2-1 git 프로젝..
-
20220924_TIL : Python __name__, __init__.pyTIL 2022. 9. 24. 16:48
#1 서론 어제 배운 내용에 이어서 모듈의 __name__ 변수와 __init__.py 파일을 알아봤다. #2 본론 #2-1 __name__ 파이썬의 내장변수인 __name__은 모듈이 직접적으로 실행될 때는 "__main__"이라는 값을 갖게 되고, 다른 파일에 import 됐다면 [파일명]을 갖게 된다. 그래서 모듈이 직접 실행될 때만 실행될 코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if __name__ == '__main__': print('파일 직접 실행됨') 이를 또 응용해서 코드를 깔끔하게 쓸 수 있다. => 파일을 직접 실행했을 때만 실행할 코드를 main() 함수에 저장하면 된다. 예시) def main(): [실행하고 싶은 코드] if __name__ == '__main__': main() ..
-
20220923_TIL : python 모듈과 패키지 importTIL 2022. 9. 23. 23:45
#1 서론 Python 개발을 하다보면 계속 나오는 모듈과 패키지를 정리했다. 모듈과 패키지를 import 할때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부분을 해결하려고 글을 썼다. # 시작하기전 단어정리 모듈: 파일 1개 모듈: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들이나 함수들을 정의해 놓은 파일 패키지: __init__.py, 파일 1개 이상 #2 본문 모듈 import : 1. import [모듈명] 2. from [모듈명] import [클래스, 함수, 변수명] 3. from [모듈명] import * 1의 경우, 모듈을 사용할 때 [모듈명].[함수명]으로 써야하는 반면 2의 경우, 그냥 [함수명] 으로 깔끔하게 사용 할 수 있음 3의 경우, 어떤 함수가 어떤 모듈에서 왔는지 알 수 없어서 비추천 패키지 import : 1. im..
-
20220922_TIL : Mysql 여러 컬럼을 동시체크하여 중복 불가하게 만들기TIL 2022. 9. 22. 21:13
#1 서론 TODO Table에 content, week, year를 한번에 묶어서 중복 불가하게 만들고 싶었다. 세 컬럼에 모두 Unique 속성을 적용하니 각각 중복 불가하게 되어 1년에 한개의 데이터만 넣을 수 있었다. #2 해결방법 어제 하루 고민하고 다시 '멀티 파라미터 키'로 구글링을 해 보니, 아래의 글을 찾고 해답을 얻었다. DB 컬럼에 primary key, unique 등을 사용하여 값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는데, 여러개의 컬럼을 동시에 체크하여 중복을 체크해야 하는 경우 여러개를 묶어서 unique 처리를 하면 된다.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UNIQUE (컬럼1, 컬럼2, 컬럼3); #3 결론 이 문제로 거의 하룻동안 고민했는데, 구글링 키워드를 잘 생각해 보니 풀렸다...
-
20220920_TIL : Mysql에 관해 잡것들TIL 2022. 9. 20. 22:49
Mysql workbench 사용시: Sql문을 실행하고 싶다면, 번개 아이콘이나 ⌘↩ 으로 가능함 블록(드래그)를 하여 그 부분만 실행 할 수 있음 USE [데이터 베이스 이름] 을 하면 왼쪽 GUI에서 이름이 볼딩체로 바뀜. GUI를 더블클릭하면 볼딩체를 어디에 할지 바꿀수 있음. 볼딩체가 된 것은 지금부터 사용하겠다는 의미임. SHOW TABLE STATUS; 존재 하는 테이블의 전체적인 상태를 알려줌 DESC [테이블 이름] or DESCRIBE [테이블이름] 테이블의 열에 대한 정보 확인 참고자료: https://youtu.be/vgIc4ctNF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