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
-
20220927_TIL : git add, git resetTIL 2022. 9. 27. 22:47
#1 서론 파일이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넘어가고, 다시 되돌리는 방법을 알아봤다. # 단어설명 working directory(= working tree) #2 본론 1. git add는 파일을 working tree에서 staging area로 넘기는 명령어 이다. 2. git reset는 파일을 staging area에 존재하는 파일을 다시 리셋하여 working tree로 되돌리는 명령어이다. 1. git add [파일명] 2. git reset [파일명] + 1. git add의 경우 "git add ."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든 변경사항이 add되게 할 수 있다. #3 결론 다음 글에서는 현재 파일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는 "git status"명령..
-
20220926_TIL : git add 명령어를 쓰는 이유TIL 2022. 9. 26. 23:13
#1 서론 어제 글에 이어서...,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바로그냥 commit 명령어를 작성하면 될것 같은데, add 명령어를 굳이 써야되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2 본론 사실 git에는 3가지 작업 영역이 있다.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1. working directory는 말 그대로 작업하는 디렉토리이고 2. staging area은 git add된 파일들, 즉 commit 할 파일들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3. repository는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숨겨진 .git 디렉토리로 commit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3 결론 staging area는 없어도 될것 같다고 생각하였지만 참고자료를 보니까, stagin area는 나중에 커밋하고 싶지..
-
20220925_TIL : git 시작하기 and 첫 commit하기TIL 2022. 9. 25. 07:04
#1 서론 예전에 프로젝트를 하다가 실수로 모든 데이터가 날아가서 버전관리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그때부터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git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주 기본적이게 github에 내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add, commit, push, pull등의 명령어만 배웠다. 위의 명령어들도 정말 간단하게 알고 있어서 조그만 에러 하나만 났어도 github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다시 저장할 수 밖에 없었다. 이번에도 에러가 났고 이번에는 정말 git과 github을 제대로 알고싶어졌다. 그래서 이 글을 시작으로 공부할거다. # 시작하기 앞서 단어 정리 repository: .git 디렉토리로 프로젝트에 대한 버전 정보가 담겨있는 디렉토리 #2 본문 #2-1 git 프로젝..